投稿

Galaxy SからS7までの解像度、10倍増加… 「Galaxy S8は4K UHDが有力」

Galaxy S Seriese (Source = UBI Research)

Galaxy S ~ Galaxy S7 (Source = UBI Research ‘Analysis Report of Galaxy S Series’)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2010年3月、サムスン電子で初のGalaxy Sが発売されて以来、6年間で合計9タイプのGalaxy Sシリーズがリリースされたが、画面サイズは1.5インチ大きくなっており、解像度は約10倍増加したことが分かった。

UBIリサーチが最近発刊した「Galaxy SシリーズのAMOLED特性分析報告書」によると、「Galaxy S」から「Galaxy S7 Edge」に至るまで、このシリーズに装着されたAMOLEDパネルは、4インチから5.5インチに、1.5インチが増えた解像度は480×800 WVGAから1440×2560 QHDと、9.6倍も増加した。

Galaxy Sシリーズに搭載されてきたAMOLEDの変化の推移を見ると、2017年にリリースされる「Galaxy S8」は、5インチの中・後半台になると予想され、解像度はUHD 4K(800ppi)になると予想される。

2010年3月Galaxy Sの初期モデルが4インチ画面で発売されて以来、毎年増加しており、S7とS7 Edgeは、それぞれ5.1インチ、5.5インチで発売され、初期のSに比べて約30%以上も画面サイズが増加している。

サムスン電子は6インチ台のスマートフォンも発売したが、2015年に6インチ台の製品は消え、5インチ台の画面サイズがサムスン電子全スマートフォン製品の71%を占めるようになった。

Galaxy Sシリーズの解像度の変化の推移(出典:Galaxy S SeriesのAMOLED特性分析レポート)

これまでサムスン電子では、Galaxy SのWVGAを皮切りに、S3はHD、S4とS5はFHDを経て、S6とS7は、QHDまで製品の発売が行われた。

Galaxy Sシリーズは、S3のHD解像度を除いては、現在の解像度の開発サイクルが2年ごとに次の解像度に移っている。

このような傾向のままでいくと、2017年にリリースされるGalaxy S8は、5インチ代の半ばから後半の画面サイズでUHD 4K解像度を備えるものであると期待できる。

UBIリサーチの関係者は、「最近、サムスンディスプレイがサンフランシスコで開催された「SID 2016」にVR用に展示したUHD 4Kの806ppiを備えた5.5インチAMOLEDは、輝度がS7と同等レベル」とし、「生産歩留まりの改善などを考慮すると、このディスプレイは来年に発売されるGalaxy S8に採用されるものと予測される」と説明した。

삼성전자, Galaxy S7과 기어 VR 활용 문화예술 갤러리 운영

삼성전자가 갤럭시 S7과 기어VR로 즐기는 문화예술 갤러리를 운영한다(출처=삼성전자)

삼성전자가 Galaxy S7과 기어 VR 로 즐기는 문화예술 갤러리를 운영한다(출처=삼성전자)

강현주 기자 / jjoo@olednet.com

삼성전자가 예술의전당과 함께 갤럭시 S7, 기어 VR 로 즐기는 문화 예술 갤러리를 운영한다.

8일까지 예술의전당 음악광장에서 진행되는 이번 갤러리는 ‘갤럭시 S7 예술 사진 갤러리’, ‘예술의전당 VR 컨텐츠 체험존’ 등 최첨단 IT 제품에 예술 컨텐츠를 더해 구성됐다.

지난 달 신사동 가로수길 팝업 갤러리에서 진행된 전시에 이어 두 번째로 예술의전당에서 진행되는 ‘갤럭시 S7 예술사진 갤러리’는 세계적인 무용단 네덜란드 댄스 시어터(Nederlands Dans Theater) 와 협업했다.

이번에 전시된 작품은 역동적인 무용수들의 아름다운 퍼포먼스를 듀얼 픽셀 이미지 센서와 F1.7렌즈가 탑재된 ‘갤럭시 S7’로 촬영했다.

또한, 지난 4월 예술의전당에서 시연된 다양한 문화 컨텐츠를 ‘기어 VR’로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SAC(Seoul Arts Center) on Screen VR 체험관’도 운영된다.

체험관에서 관람객들은 기어 VR로 웅장한 오케스트라와 서예박물관 등 공연장과 전시 현장에 실제로 있는 것과 같은 가상 체험이 가능하며 ‘갤럭시 S7’, ‘기어 360’, ‘기어 VR’ 등 최신 IT 제품도 경험할 수 있다.

지난 29일 출시된 ‘기어 360’은 제품 앞뒤에 탑재된 2개의 어안 렌즈로 상하좌우 360 도의 모든 공간을 촬영할 수 있는 기기이다.

특히, 듀얼 이미지 센서를 사용해 UHD급(3840×1920)의 고해상도 동영상 촬영과 최대 3천만 화소의 사진 촬영이 가능하며, F2.0의 렌즈를 탑재해 저조도에서 보다 밝고 선명한 화질의 영상과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최신 IT기기를 통해 예술 컨텐츠를 즐기는 방식이 더욱 다양해 질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협업을 통해 소비자들의 흥미를 끌 수 있는 마케팅을 운영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갤럭시 S7·S7엣지 핑크골드 출시

갤럭시S7 및 S7엣지 핑크골드(출처: 삼성전자)

갤럭시 S7 및 S7엣지 핑크골드(출처: 삼성전자)

강현주 기자 / jjoo@olednet.com

삼성전자가 20일부터 한국 이동통신 3사를 통해 ‘갤럭시 S7 엣지’와 ‘갤럭시 S7’ 핑크골드 모델을 출시한다.

핑크골드 색상의 ‘갤럭시 S7 엣지’와 ‘갤럭시 S7’는 32GB로 출시되며 출고가는 기존과 동일하게 각각 92만 4천원, 83만 6천원이다.

삼성전자는 여성 소비자의 감성에 맞춰 혁신의 아이콘인 ‘갤럭시 S7’에  핑크골드를 추가했으며 이번 핑크 골드 제품 출시를 기념하여 다채로운 마케팅 행사를 마련했다.
삼성전자는 21일까지 롯데월드몰 아트리움에서 뷰티 이커머스 기업인 미미박스(MEMEBOX)와 함께  갤럭시 S7의 방수 기능에서 착안한 워터프루프 메이크업, 핑크골드 색상에서 영감을 얻은 핑크핑크 메이크업 등 다양한 메이크업 클래스를 펼친다.

메이크업 클래스에 초청된 고객 전원에게 미미박스의 핑크 제품으로 구성된 ‘♥7 핑크 럭키 박스’ 가 제공되며, 이 중 일부 박스에 ‘갤럭시 S7’ 핑크골드ㆍ‘기어 S2 클래식’ 로즈골드가 깜짝 선물로 담길 예정이다.
미미박스 홈페이지에서도 ‘♥7 핑크 럭키 박스’ 퀴즈 이벤트를 진행하고, 참여자 대상으로 다양한 럭키 박스를 증정한다.
또한 삼성전자는 23일부터 5월 8일까지 신사동 가로수길 S7 팝업 갤러리에서 ‘♥7 Day & Night with S7’ 사진전을 개최해 20대 여성 소비자들이 ‘갤럭시 S7’ 핑크골드로 전국의 풍경을 담은 사진을 전시할 예정이다.
이번 신제품 출시에 맞춰 라인프렌즈와 협업한 배터리팩과 자폐인의 재능을 발굴하여 사회ㆍ경제적 독립을 지원하는 사회적 기업 오티스타와 협업한 7종류의 케이스도 선보인다.
삼성 디지털프라자 홍대점에서는 갤럭시S7 핑크골드 출시기념으로 홍대 길거리 연주팀을 초청하여 다채로운 공연을 진행하고 사은품을 지급하는 룰렛게임도 진행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봄을 맞아 새롭게 선보이는 ’갤럭시 S7’ 핑크골드 모델은 우아하고 깊이 있는 색상으로 여심을 자극할 것”이라며 “다채로운 이벤트를 통해 이번의 출시한 ‘갤럭시 S7’ 핑크골드를 더욱 많은 고객들이 경험하게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갤럭시 S7’ 핑크골드와 이벤트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www.samsung.com/sec/galaxys7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삼성전자 Q1 매출 49조원, 영업이익 6.6조원

삼성전자가 Q1 잠정실적을 발표했다.(출처=삼성전자)

삼성전자가 Q1 잠정실적을 발표했다.(출처=삼성전자)

강현주 기자 / jjoo@olednet.com

삼성전자가 매출 49조원, 영업이익 6.6조원의 2016년 Q1 잠정 실적을 연결기준으로 7일 발표했다.

1분기 실적은 전분기 대비 매출이 -8.1%, 영업이익이 7.5% 증가했다. 전년동기 대비는 매출이 4%, 영업이익이 10.4% 증가했다.

잠정 실적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IFRS)에 의거해 추정한 결과이며, 아직 결산이 종료되지 않은 가운데 투자자들의 편의를 돕는 차원에서 제공되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2009년 7월부터 국내 기업 최초로 분기실적 예상치를 제공하고 2010년 IFRS를 적용함으로써 글로벌 스탠다드에 입각한 정보제공을 통해 투자자들이 보다 정확한 실적 예측과 기업가치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주주가치를 제고해 왔다.

Blossoming April… Hurt by LCD, Heal with OLED

Hyunjoo Kang / Reporter / jjoo@olednet.com

Flexible OLED from LGD(CES 2016)

Flexible OLED from LGD(CES 2016)

From April, the display industry is estimated to start mending the damage carried out by LCD with OLED.

 

In Q1 2016, Korean display industry suffered due to oversupply of Chinese LCD panels. Market experts believe that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will announce large Q1 deficit in April due to LCD.

 

However, the display market is expected to actively improve its performance from April.

 

Dong-won Kim, analyst with Hyundai Securities, estimated that great increase in profit is expected from Q2 2016 due to the increase in OLED operation rate and yield improvement. Also because of profitability improvement effect following LCD panel’s price rebound, the deficit will decrease.

 

LG Display’s performance in OLED sector is expected to noticeably improve. Over 90% of LG Display’s total mass production line is LCD at present. Hence, the fall of LCD price in Q1 is expected to have hit hard and OLED business is also showing deficit.

OLED TV from LG(CES 2016)

OLED TV from LG(CES 2016)

◆ After Harsh Q1, Warm Breeze of OLED… Spring for Equipment Industry Too

 

However, this will change from Q2. Analyst Hyeoncheol So of Shinhan Investment forecast that LG Display’s OLED TV sales volume and revenue in Q2 2016 will increase by 144% and 106% respectively. He added that the business deficit of OLED TV sector will greatly decrease.

 

LG Display is anticipating that the deficit will turn to profit in H2 2017, with the business profit of up to 1 trillion KRW in 2017, an increase of 115%.

 

Samsung Display, whose LCD and OLED ratio is 50:50, is expected to show 900,000 million KRW in deficit in LCD sector this first quarter. However, this is estimated to be compensated to some degree by the profit in OLED.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are actively carrying out investment in OLED panel mass production line in Q1. As well as the investment in turning the existing LCD line to OLED, investment in new OLED line establishment is actively being carried out.

 

As such, with the optimistic outlook on OLED within the display market, flexible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companies such as Tera Semicon, Viatron Technologies, and Dong A Eltek had been discussed as the favorites of securities companies. In fact, Samsung Display’s flexible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related key collaborator AP Systems showed remarkable growth recording 12,100 million KRW in business profit last year.

 

UBI Research forecast that Korean companies will strengthen their dominance with their 2016 AMOLED shipment’s 95% occupancy of the global market. As OLED is becoming stronger in the TV, smartphone, and VR market, this will become a huge growth engine for global panel companies such as Samsung and LG.

 

삼성전자, 중국에서 ‘삼성 페이’ 서비스 시작

강현주 기자 / jjoo@olednet.com

 

<출처 :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중국에서 ‘삼성 페이’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9일발표했다. 삼성페이는 이날 부터 중국의 유니온 페이와 손잡고 중국에서 ‘삼성 페이’ 서비스를 시작한다.

 

모바일 결제 서비스 ‘삼성 페이’는  중국 전역에서 유니온 페이의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를 모두 지원할 예정이다. ‘삼성 페이’는 현재 공상 은행, 건설 은행, 중신 은행 등 중국 내 주요 9 개 은행의 신용 카드와 체크 카드를 지원하며, 중국 은행, 북경 은행 등 6 개 은행이 추가될 예정이다.

 

중국 ‘삼성 페이’는 ‘갤럭시 S7 엣지’, ‘갤럭시 S7’, ‘갤럭시 S6 엣지+’, ‘갤럭시 노트 5’ 등을 통해 사용이 가능하며,  향후 지원 가능한 다양한 제품이 지속 출시될 예정이다.  또한, 중국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혜택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유니온 페이를 포함한 다양한 파트너사들과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중국 모바일 결제 시장의 혁신을 주도 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이인종 부사장은 “유니온 페이와의 협력을 통해 중국에서 삼성 페이 서비스를 시작하게 되어 대단히 기쁘게 생각한다”며 “삼성 페이는 한국과 미국에 출시된 이후 많은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으며, 사용 빈도와 금액 모두 매우 성공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의 더 많은 소비자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삼성 페이를 즐길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유니온 페이 후잉 부총재는  “유니온 페이는 중국과 해외에 있는 수백만 명의 고객들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며 “이번에 삼성전자와 함께 시작하는 ‘삼성 페이’ 서비스를 통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모바일 결제가 가능해 질 것”이라고 말했다.

Samsung Electronics Unveils Galaxy S7 and S7 Edge

On February 21 (local time), Samsung Electronics held Samsung Galaxy Unpack 2016 event at the Barcelona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 (CCIB), Spain, and unveiled smartphone Galaxy S7, Galaxy S7 Edge, and Gear 360, a camera that can film in 360°.

 

Koh Dongjin, Samsung Electronics Mobile Communications Business president, announced that at this important time of change in the mobile industry, Samsung Electronics will provide not only smartphone but also the comprehensive experience and value for the consumers through diverse products, contents, and service surrounding the smartphone. He added that the company will pay even more attention to the consumers in future and lead the mobile market through ceaseless challenges in new technology and areas.

 

4 items were much emphasized in Galaxy S7 and S7 Edge. Firstly, for the camera, the latest technology used in the top DSLR, dual pixel image sensor was applied to smartphone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Particularly, the demonstration of Galaxy S7 and S7 Edge camera’s superiority through the comparison with iPhone 6S is analyzed to be a move to come ahead in the future competition with iPhone.

 

The second is the battery capacity. Despite that the embedded battery of S6 and S6 Edge was considered a great drawback, the same was applied to the most recent S7 and S7 Edge. However, the battery capacity increased by 38%, in the case of S7 Edge, with 3,600 mAh, and improved on the disadvantage of embedded battery.

 

The third is the low energy consumption environment. AOD (always-on display) was applied, and also to meet the trend of heavy gaming use, the next generation graphic Vulka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is supported that can be also used on consoles, minimizing the energy consumption.

 

Fourthly, the new smartphone has the waterproof and dustproof function. The highest standard in waterproof/dustproof IP68 grade was applied to Galaxy S7 and S7 Edge, and provides highest protection. With this function applied to the entire smartphone including components such as USB terminal and earphone jack, waterproofing is possible without a USB cover.

 

Additionally, Samsung Electronics expanded the Galaxy ecosystem and revealed Gear 360, a camera that can take pictures and videos in 360° at the Samsung Galaxy Unpack 2016.

 

Gear 360 has two 195° fish-eye lenses that can take 180° wide angle pictures and videos. These can be put together and generate contents that can be viewed in 360°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his can be viewed in virtual reality through Gear VR.

 

Gear 360 can be connected to Galaxy S7, S7 Edge, S6, S6 Edge+, Note5, S6 Edge, and S6, and can film through smartphone application, preview and upload the contents to social network and Google Street View.

 

Galaxy S7 and S7 Edge will be available in 4 colors (white pearl, silver titanium, gold platinum, and black onyx) with luxurious and glass quality. Gear 360 is expected to be released in white in the first half of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