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sung Display, to break through crisis with diversification of OLED customer!

Samsung Display is speeding up to be post-Samsung Electronics. The world’s sole OLED panel that Samsung Display manufactures is applied to most of the products by Samsung Electronics’ IM Division. Samsung Display expected to expand the OLED panel market as building the A2 line additionally in 2013 but the Smartphone Galaxy S5 did not measure up to the expectations resulting gradual decrease of factory operation rate a long with the sales.

The diversification of customers is required at this moment in the Samsung Display’s AMOLED panel industry which heavily relies on Samsung Electronics. And the result of those efforts begins to appear in the tablet PC area. In the last month, Dell revealed the tablet PC Venue 8 7000 using the Samsung Display’s 8-inch AMOLED panel (refer to the OLEDNET article posted on November 4), and now Fujitu released the tablet PC ARROW Tab F-03G with 10.5-inch AMOLED panel. (http://www.fmworld.net/product/phone/f-03g/info.html#heading02). Fujitsu is emphasizing the excellent picture quality of the tablet PC with AMOLED panel compared to the product made of LCD.

It has been only half a year since the OLED was applied to the tablet PC and yet, it is anticipated to be applied by a wide range of industries from next year given that global set companies begin to use OLED.

141219_삼성디스플레이, OLED 패널 고객 다변화로 위기 돌파한다!

 

ㅁㄴㅇ

[Spider_Calendar id=”1″ theme=”10″ default=”month” select=”month,list,week,day,”]

sdfsdfsdf

[Spider_Calendar id=”1″ theme=”13″ default=”month” select=”month,list,week,day,”]

ETRI achieved the first international standard for OLED lighting

 

  • The world’s first OLED lighting international standard proposed by Korea
  • Promote OLED Industry by standardizing ‘Low Power’‘Eco-friendly’ OLED Lighting
  • Establish New Ecosystem for the Next Generation Lighting Industry, Take the lead of Creative Economy

The grand achievement was made for the Korean researchers a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lighting technology that they have sugges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was chosen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 by the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This accomplishment will promote domestic companies to enter into the OLED lighting field as Korea occupies more than 90% of the entire global market in case of AMOLED display using OLED.

The ETRI (Electronics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resident Heung Nam Kim) announced on the 11th that Dr. Jo Du-hui from the Soft I/O Interface Research Lab conduced significantly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Safety requirements for OLED panels used in general lighting』.

OLED lighting is drawing attention as a representative creative technology to lead the next generation lighting industry for it has eco-friendly properties like energy saving and, in addition, it is thin, lightweight, transparent and bendable.

Especially for OLED,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industrial infrastructure utilization as Korea is dominating the global market of AMOLED display.

Therefore, the researchers are expecting to have highe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an in any other lighting fields.

ETRI was carrying out the enact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 as a pressing task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relevant technologies to build OLED lighting industry ecosystem.

It is because the standardization is critical to use and industrialize the OLED as a light source of numerous lighting fixtures.

Thus, the speedy preoccupancy of international standard by ETRI is to be the favorable condition in the Korean OLED lighting related industry.

In the course of legislat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the opinions and test results concluded in consultation with the domestic company were reflected on the standard.

Accordingly, the ETRI expects to create groundwork for the expansion of market in a short period of time by saving time and cost for domestic companies in industrializing and minimizing the confusion in entering into the market.

ETRI is planning to take the lead of the performance standard in relation to the efficiency and lifespan of OLED light source follow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regarding safety field.

Furthermore, it was said that the standard for the module will be carried forward additionally.

Supported by the Lighting Committee of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Dr. Jo Du-hui performed outstandingly as the chairperson of ‘OLED Lighting Working Group,’ which is IEC’s technical subcommittee for lighting fields since 2011.

The standard proposal for the ‘Safety requirements for OLED panels used in general lighting’ was submitted to IEC in November, 2011 for the first time and issued in September as the final decision was made after the three-year long discussions and revisions.

Every electronics must be certified through the safety test when importing and export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that Dr. Jo of ETRI accomplished is defining test methods and standard values for various electric/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OLED together with the labelling requirements for the safety certification.

The registra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 for OLED lighting is a remarkable success of obtaining Korea’s first international standar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of lighting field where advanced countries are taking the lead.

As stated by the UBI Research which is the professional OLED related market research media, the OLED lighting panel market is prospected to be about $ 4.7 billion in 2020 globally.

ETRI forecasts that there is growing possibility of Korea occupying the world’s OLED lighting market in advance on this occasion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besides the fact that it is the OLED lighting industry of Korea which has the one and only mass production technology in the world.

Lee Jeong-ik, the executive director of Soft I/O Interface Research Lab said that, “This research result is expected to activate OLED lighting industry and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the new ecosystem for the next generation lighting industry conform to creative economy scheme.”

ETRI performed a leading role in periodic technology developments together with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tasks from the material/parts to the light source-lighting fixtures through the support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This accomplishment of standardization was facilitat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Key Technology for Interactive Smart OLED Lighting’ project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Through this project, the research team produced satisfactory results of developing OLED lighting technology of wireless power system among 12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pers, 29 national and international patents, and 4 technology transfers.

Source – ETRI

Flexible AMOLED의 위력

Flexible AMOLED가 왜 필요한가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의문을 가지고 있다.  이유는 flexible AMOLED는 휘어져야 한다 또는 말릴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용도의 제품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아직 모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오래 전부터 flexible display를 개발하던 기업들이 꿈의 디스플레이로서 소개한 concept이기 때문이다.

Flexible display에 대해 가장 큰 오해는 말수 있는 display이다.  분명히 말하자면 현재의 기술로서는 말면 안 된다. 이유는 set가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아직 수용할 수 없다.   디스플레이를 말게 되면 set는 기본적으로 원통형이 필요하다.  이 경우에는 set를 구성하고 있는 각종 부품이 모두 원통의 case에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구동 시에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없다.  또한 현재의 battery 기술로서는 소형의 원통에서 장시간 디스플레이와 각종 전기전자 부품을 구동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진 제품이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향후로도 막대한 시간이 걸릴 수 밖에 없다.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는 현재의 기술로서도 가능하다.  또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set는 현재와 마찬가지의 평편한 구조를 그대로 채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Flexible AMOLED의 가장 큰 이점은 깨어지지 않는 특징과 얇기 때문에 set의 design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점이다.  특히 현재의 mobile AMOLED에서 가장 큰 취약점은 frit glass를 사용하고 있어 외부 충격에 쉽게 파손 될 수 있다. BLU를 사용하는 TFT-LCD 보다도 자체 두께는 얇지만 보강 구조 때문에 두께를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flexible AMOLED는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어 외부 충격에는 매우 강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display의 크기가 클수록 flexible AMOLED의 가치는 더욱 커지게 된다.

Frit glass를 사용하는 mobile AMOLED 제조 한계는 약 7인치로 알려져 있다.  10인치 이상의 tablet PC용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정설이다.  현재 mobile 기기는 smart phone에서 phablet로 이미 옮겨지고 있으며, 향후 거대 시장은tablet PC 시장이 될 것임은 자명하다.  이러한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또 하나의 AMOLED는 깨어지지 않는 flexible AMOLED이다.  Flexible AMOLED가 tablet PC에 사용되면 초박형의 가벼운 tablet PC를 만들 수 있어, 소비자가 사용시 떨어뜨려도 깨어지지 않기 때문에 TFT-LCD를 사용하는 제품에 비하면 내구성이 월등히 높아질 수 있는 핵심 부품이 될 수 있다.  또한 매우 얇기 때문에 set를 design하는 메이커로서는 form factor를 자유롭게 design할 수 있어 grip감이 우수한 제품을 만들 수 있다.  TFT-LCD와 대등한 두께로 가져 갈 시에는 고용량의 battery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이성이 매우 높아진다.

 

따라서 flexible AMOLED는 향후 tablet PC 시장을 지배할 수 있는 핵심 display가 될 수 있기 때문에 mobile display로서는 최고로 중요한 시장을 형성할 수 있는 cash cow로 성장할 수 있다.

Flexible AMOLED 기술 경쟁 가속화

<Toshiba>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주도의 AMOLED 사업에 일본 디스플레이 기업들이 속속 참여하기 시작했다. 모바일 시장은 삼성디스플레이가 주도하고 있고 대면적 시장은 LG디스플레이가 리딩하고 있는 AMOLED 패널 시장에서 일본 기업들은 더 이상 제품 개발이 지체되면 완전히 한국 주도의 AMOLED 시장으로 산업이 고착될 것을 우려하여 차세대AMOLED인 flexible AMOLED 패널 개발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SID2013에서 Toshiba와 Sharp, Panasonic, 연구개발 전문 민간 업체인 SEL 등이 다양한 flexible AMOLED를 전시하며 아직 살아 있음을 표명하였다. 일본 기업들은 대부분이 oxide TFT backplane를 사용하고 있으며 Toshiaba는tablet PC용 10.2인치 WRGB 타입 제품을 소개했다. 해상도는 223ppi이다.

[ICEL4 속보] LG의 OLED Demonstration

앞면, 뒷면에서 모두 볼 수 있는 Dual(bottom side)

앞면, 뒷면에서 모두 볼 수 있는 Dual(top side) – 사진 내 왼쪽
(뒷면도 앞면처럼 깨끗하게 나오는것을 볼 수 있다.)

(Spec.)
Active Area : 1.9 inch in dia
Resolution : QIF (176×220)
Pixel Pitch : 171 um
Frame Rate : 60hz
Gray Level : 64
Aperture Ratio : 35.3%

28일 ICEL4 에서 LG의 OLED Demonstration이 있었다.
Bottom Emission, Dual(bottom side), Dual(top side)의 3종의 모델이 ICEL4 참가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reporter@olednet.co.kr

[인터뷰] 국제 학술대회 유치 김영관 ICELㆍ4 조직위원장

한국에서 이같은 대규모 국제 유기EL 학술대회가 개최된다는 것은 한국 디스플레이산업의 국제적인 위상을 재확인시켜주는 것이자, 관련산업이 향후 큰 전환점을 맞게될 것임을 의미하는 것입니다”제4회 국제 유기EL 학술대회를 국내에 유치한 김영관 ICEL―4 조직위원장(홍익대 교수)은 이번 학술대회의 의미를 이같이 설명하고, 이를 계기로 국내 유기EL 기술 개발 및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김 위원장은 최근 발표된 차세대 성장산업에서도 디스플레이 산업이 중요하게 부각된 만큼, 현재 TFT LCD나 PDP의 경쟁력을 기반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유기EL을 적극 육성하려는 노력과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갖고 있는 TFT LCD, PDP의 뒤를 이어 10년 후 한국의 디스플레이 산업의 중심 축이 될 수 있는 것이 유기EL”이라며, “이번 국제학술대회가 이같은 인식의 변화를 주도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현재 일본은 D램과 TFT LCD 등의 주도권을 한국에 빼앗긴 이후 차세대 핵심 육성 분야로 유기EL을 정하고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중국과 대만 등도 후발주자로서 TFT LCD나 PDP보다는 유기EL에 대한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디스플레이산업 분야에서 유기EL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연구 개발 및 투자를 게을리 한다면, 당분간은 한국이 TFT LCD와 PDP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분야의 선두를 유지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그 이후엔 다시 일본이나 대만 등에 주도권을 넘겨줄 수밖에 없는 상황이 도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따라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의 분야에서 힘들게 확보한 한국의 세계적인 경쟁력을 사장시키지 않기 위해선 정부와 학계, 산업계 등이 힘을 모아 유기EL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적극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런 측면에서 이번 국제 유기EL 학술대회가 세계적인 기술 흐름을 보여주는 장으로서 뿐만 아니라, 유기EL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제고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는 바람을 피력했다.

오동희기자

 

reporter@olednet.co.kr